자료=식약처
자료=식약처

[소셜타임스=정은영 기자]

추석을 앞둔 9월에도 더운 날씨가 이어져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올여름 무더위가 길게 이어지면서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23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보면 특히 7~9월에 식중독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실제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359건, 환자는 8789명이었다. 2020~2022년과 비교했을 때 평균 발생 건수는 약 1.5배, 환자가 약 2배 이상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초가을이 시작되는 9월까지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식중독은 음식물 섭취가 원인이 돼 발생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또는 독소 중독을 가리킨다.

음식을 먹고 소화기가 미생물이나 독성물질에 감염돼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살모넬라균, 병원성 대장균이다.

특히 살모넬라 식중독은 한여름보다 9월에 더 많이 발생한다.

살모넬라 식중독과 함께 7~9월에 많이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육류나 채소류를 가열해 조리하지 않고 먹을 때 걸리기 쉽다. 주로 달걀이나 덜 익은 닭고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으로 ▲ 손 씻기 ▲ 세척·소독 ▲ 익혀 먹기 ▲ 구분 사용 ▲ 끓여 먹기 ▲ 보관 온도를 꼽았다.

손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씻고 식재료·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소독한다.

물은 끓여서 먹고 음식을 가열 조리 시 음식물의 내부까지 충분히 익혀야 한다. 고기완자 등 분쇄육을 조리할 때는 반드시 속까지 완전히 익혀야 하며 햄·소시지 등 육가공품도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 조리해야 한다.

날음식과 조리음식은 구분하고 냉장식품 5℃ 이하, 냉동식품 –18℃ 이하에서 보관해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면 식중독균이 발생할 수 있다. 가급적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상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된 음식은 반드시 재가열한 후 먹도록 한다.

명절 음식은 많은 양을 미리 조리해 보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시간 이내 식혀서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조리된 음식을 베란다에 보관하면 낮 동안에는 햇빛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